자 의식적 정서로서 부끄러움의 경험 준거와 심리적 기능 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1 09:48
본문
Download : 자 의식적 정서로서 부끄러움의 경험 준거와 심리적 기능 분석.hwp
자 의식적 정서로서 부끄러움의 경험 준거와 심리적 기능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부끄러움의 경험 준거 차원 : 공동체 윤리, 자율성과 사회관습
부끄러움을 느끼는 상황, 즉 경험 준거에 관련되어는 사회적 준거와 개…(skip)
< 2. 본 연구의 목적 >
< 3. 검증하고자 하는 가설 >
4. 공동체 윤리와 자율의 윤리 혼합 상황에서의 부끄러움의 정도는 개인주의-집합주의
자 의식적 정서로서 부끄러움의 경험 준거와 심리적 기능 분석
Download : 자 의식적 정서로서 부끄러움의 경험 준거와 심리적 기능 분석.hwp( 74 )
부끄러움최종보고서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순서
자 의식적 정서로서 부끄러움의 경험 준거와 심리적 기능 분석에 대한 자료(data)입니다. 부끄러움최종보고서 , 자 의식적 정서로서 부끄러움의 경험 준거와 심리적 기능 분석인문사회레포트 ,
다.
< 1.기존 연구의 analysis(분석) >
정서 경험의 자 의식적 차원자 의식적 정서는 사회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상대방이나 자기 자신을 평가하고 판단하는 사회적 관계 속에서 경험되는 정서로서, 자신의 행동에 대한 기준이 포함된 자기 준거적 과정을 포함한다.
즉 부끄러움이 지닌 심리적인 기능에는 행동 조절의 기능 , 사회 조절 기능, 자기 조절 기능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자의적 정서가 반성적 기능을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아 Barrentt는 부끄러움의 행동적 ,사회적, 개인적 기준을 analysis(분석) 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개인적 준거나 사회적 준거에 빗대어 부끄러움을 경험을 하게 되면, 자신의 부정적인 평가에 대해 마음이 불편해지고 타인의 부정적인 평가를 방어하기 위해서나 혹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자 동기화 되는 것이다. 이는 도덕적 위반 행위를 제지하거나 도덕적 행위를 촉진하기 때문에 도덕적 정서라고도 하며, 개인의 사회화 과정을 통해 발달하고 대인관계 맥락에서 경험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