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 스트레스와 웃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1 17:16
본문
Download : [사회학] 스트레스와 웃음.hwp
그러다 보니 어느덧 무조건 빨라야 한다는 `빨리빨리주의` 가 우리 삶의 자연스런 모습으로, 절대 선이요 신화로까지 되었습니다. 대단한 `빨리빨리주의`요 culture입니다.
1. 왜 우리는 이리도 바쁠까요?
`스트레스` 라는 단어를 접하면 십여년 전 읽은 주한 프랑스 특파원의 글이 떠오릅니다. 우리들은 왜 이렇게 빠르게 살아야만 하는 걸까요?
우리는 봉건적 잔재들이 일소되지 않은 채로 자본주의적 경제성장을 압축해서 해왔습니다. 쌀 농사를 지으려면 여든여덟 번 손이 간다고 해서 팔십팔이라는 것입니다. 이걸 이기고 쌀농사를 지어야 하니 그만큼 손이 많이 간다는 것입니다.
그래서인지 외국인들도 한국에 와서 처음 배우는 말이 육두문자를 빼면 `빨리빨리`라고 합니다. 그런데 아주 먼 옛날에도 한민족이 그랬을까요?
쌀 미(米)자를 풀어 보면 팔십팔(八十八)이 됩니다. 그 결과로 한국사람들의 스트레스 강도는 세계에게 둘째라면 서러워 할 정도가 되었습니다.
레포트/인문사회
[사회학] 스트레스와 웃음
[사회학] 스트레스와 웃음 , [사회학] 스트레스와 웃음인문사회레포트 , 사회학 스트레스와 웃음
스트레스와 웃음의 관계
?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고, 항상 피곤하다고 말씀하시는 30대 분들이 늘어 갑니다. 하지만 농경시대의 중심이던 농민들은 이를 달리 해석했습니다. 그래서 농경시대부터 이미 우리 선조들에게도 `빨리빨리`가 체화되었다고 합니다. 글을 읽으며 미처 생각해 보지 못한 우리들의 `빠름`에 충격(?)을 받았습니다.
이렇게 품이 많이 가는 벼농사를 짓다 보니 일년 내내 잠시도 쉴 틈 없이 움직여야 먹을 것, 입을 것, 자식 돌보기를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재미 삼아 서유럽 사람들과 비교해 봤더니 한국사람들이 1.5배는 더 빠르더라 합니다. 오늘은 스트레스가 우리 몸에 어떤 작용을 하고,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방법으로 어떤 것이 있는지 적어 봅니다. 그 특파원은 한국에 와서 가장 놀란 게 건널목을 건너는 사람들의 걷는 속도였다고 합니다. 유구한 빨리빨리의…(To be continued )
순서
![[사회학]%20스트레스와%20웃음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D%95%99%5D%20%EC%8A%A4%ED%8A%B8%EB%A0%88%EC%8A%A4%EC%99%80%20%EC%9B%83%EC%9D%8C_hwp_01.gif)
![[사회학]%20스트레스와%20웃음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D%95%99%5D%20%EC%8A%A4%ED%8A%B8%EB%A0%88%EC%8A%A4%EC%99%80%20%EC%9B%83%EC%9D%8C_hwp_02.gif)
![[사회학]%20스트레스와%20웃음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D%95%99%5D%20%EC%8A%A4%ED%8A%B8%EB%A0%88%EC%8A%A4%EC%99%80%20%EC%9B%83%EC%9D%8C_hwp_03.gif)
![[사회학]%20스트레스와%20웃음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D%95%99%5D%20%EC%8A%A4%ED%8A%B8%EB%A0%88%EC%8A%A4%EC%99%80%20%EC%9B%83%EC%9D%8C_hwp_04.gif)
사회학,스트레스와,웃음,인문사회,레포트
설명
[사회학] 스트레스와 웃음
Download : [사회학] 스트레스와 웃음.hwp( 52 )
다. 그래서 88세를 미수(米壽)라 해서 잔치를 합니다. 쌀은 원래 아열대 식물이라 한반도에서는 기후가 잘 맞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