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 의부사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9 08:16본문
Download : 맹자 의부사연구.hwp
먼저 부사는 허사인가 실사인가 하는 문제에 마주향하여 학자들의 주장을 보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이들은 문법기능을 중시하여 단독으로 문장constituent 이 될 수 있는 것을 실사로 보고 단독으로 문장constituent 이 될 수 없는 것을 허사로 판단하였다. 그럼에도 부사를 실사의 범주에 포함시킨 것은 동사와 형용사를 수식하는 부사의 역할에 맞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아
여숙상은 “부사의 주요작용은 부사어가 되어, 동사, 형용사를 수식하거나 전체문장을 수식하는 것…(To be continued )
맹자의 의부사애 대한 연구자료입니다.순서
Download : 맹자 의부사연구.hwp( 19 )
,인문사회,레포트
맹자 의부사연구
《맹자》의부사연구
맹자의 의부사애 대한 연구資料입니다. 이 들 단어는 의미상의 구별이 쉽지 않은데, 그렇다면 같은 품사로 보아야 할 것인가? 이것은 그렇다고 보기 힘들 것이다. 예를 들어 ‘사상(명사)’와 ‘사고(동사)’의 경우가 그렇고 ‘수면(명사)’과 ‘수각(동사)’의 경우가 그렇다. 단 부사를 부사로 표기한 부분은 분량상의 문제로 싣지 않기로한다. 《맹자》의부사연구 , 맹자 의부사연구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다.
위와 같이 부사를 실사로 보는 학자들과 허사로 보는 학자 그리고 실사와 허사의 중간 형태로 보는 학자 등이 있다아
마건충, 여금희 등은 부사의 정이를 ‘의미’에 기준을 두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문제는 부사가 무엇인가 하는 문제에 대한 정이가 선결되어야 한다.
일. 부사개설
이 논문은 양백준의 《맹자역주》를 text로 석사 논문을 쓰면서 《맹자역주》의 뒷 부분에 실린 〈맹자사전〉의 부사 분류에 대하여 다른 관점을 제시한 것으로, 부사로 볼 수 없으나 〈맹자사전〉에서는 부사로 판단한 것과, 부사임에도 〈맹자사전〉에서는 아무런 언급도 없었던 것을 찾아보고자 한다. 그러나 이에도 문제가되는점 은 있는데 동사와 형용사를 수식하는 단어는 모두 다 부사라고 오인할 여지가 있는 것이었다. 물론 부사뿐만이 아니라 모든 품사의 분류를 하는데 에도 이렇듯 ‘의미’에 의거하여 분류를 하였는데, 의미에 의거해서 품사를 분류하는 것은 품사 분류 문제의 일부분만을 해결할 수 있을 뿐이고, 이 방법으로는 품사를 결정할 수 없는 단어들도 많다.
호유수, 리가요, 손人生(life) 등은 부사의 정이를 ‘수식기능’에 중점을 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