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EDI 이용現況과 한계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0 21:29
본문
Download : 국내 EDI 이용현황과 한계점.hwp
EDI 구축에 따른 잘못된 생각과 인식
라. EDI의 보안 문제
마. EDI 법령 및 제도 미비
Ⅲ. conclusion(결론) ........................................................ p.19
- 최근동향 및 앞으로의 방향............................. p.20
- bibliography .............................................. p.21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대 후반에 EDI를 이용한 문서교환 방식의 도입이 처음 되기 처음 하였다. 91년 12월에는 무역업무자동화 추진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고, 92년 6월에 한국 무역정보통신이 설립되었으며, 11월에는 한국무역정보통신(KTNET)이 무역자동화 전담사업자로 지정되었다. 한국무역정보통신…(To be continued )
EDI






국내 EDI 이용현황과 한계점에 대해서 여러 사례를 들어 설명한 글입니다. 민간 부문에서는 1987년 포항제철이 최초로 포항제철과 관련사간의 철강 수·발주 및 운송 업무에 사설 조직간 정보 시스템(Proprietary Interorganizational Information System)을 구축하였다. 국내 EDI 관련 사업은 주로 政府주도로 진행되었으며, 무역 업무자동화 및 관세 부문의 EDI 도입을 효시로 금융, 의료, 조달 등의 분야에서도 이미 EDI를 도입하였다. 물류 EDI .......................................... p. 7
라. 의료EDI ....................................... p. 8
마. 국방조달 EDI ....................................... p. 9
바. 조달 EDI ....................................... p.11
사. 유통 EDI ....................................... p.12
아. 사회保險 EDI ....................................... p.13
Ⅱ-2. EDI 표준의 drawback(걸점)과 해결책 ...................... p.15
가. EDI 표준의 한계성 ................................... p. 15
나. EDI 사용자 소프트웨어의 폐쇄성 및 한계성
다.
,의약보건,레포트
설명
Download : 국내 EDI 이용현황과 한계점.hwp( 16 )
레포트/의약보건
다.
Ⅰ 서론
Ⅰ-1. EDI란? ............................................... p.1
Ⅱ.본론 ............................................... p.2
Ⅱ-1. 국내 EDI의 이용現況(현황) ................................. p. 2
가 .무역 EDI ......................................... p. 2
나. 통관 EDI ......................................... p. 5
다.
가 .무역 EDI
수출신용장 통지, 수입신용장 개설 등의 수출입업무 관련 서류를 인편, 우편 등으로 전달하지 않고 표준화된 전자문서로 작성하여 무역자동화 지정사업자를 통해 당사자 간의 컴퓨터에 전달하여 수출입업무를 처리하는 서비스이다
국내에서 무역 부문의 EDI이용은 ‘89년 상공부와 한국전산원이 공동으로 종합무역자동화 기본계획을 수립한 후, 90년 4월 한국 무역협회내에 종합무역자동화사업추진단이 발족되면서 구체화 되었다.EDI , 국내 EDI 이용현황과 한계점의약보건레포트 ,
국내 EDI 이용現況과 한계점
순서
국내 EDI 이용現況과 한계점에 대상으로하여 여러 사례(instance)를 들어 說明(설명) 한 글입니다.
국내 EDI 네트워크 추진現況(현황) 을 크게 3가지로 살펴보면 우선, 한국무역정보통신(KTNET)을 중심으로 하는 상무부문 EDI 네트워크(추진주체: KTNET, DACOM), 관세청(KTNET)이 주관하고 있는 통관 부문의 EDI 네트워크, 물류EDI 네트워크(추진주체:한국물류정보통신 =KL-Net)로 개설되어 있다아
Ⅱ-1. 국내 EDI의 이용現況(현황)
우리나라의 EDI 도입은 공공부문이 주도한 특징을 갖고 있다아 ‘80년대 후반에 상공부가 중심이 되어 추진한 무역 부문의 EDI 도입을 처음 으로 관세청, 해양수산부, 철도청, 건설교통부, 국방부, 조달청 등의 政府부처가 물류, 국방조달 등 각 분야에 걸쳐 EDI 이용을 적극 추진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