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중심적 모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17 10:47
본문
Download : 해결중심적 모델.hwp
이 질문을 통해 치료자는 클라이언트가 바꾸고 싶어하는 것을 스스로 說明(설명) 하게 하여 문제에 대한 집착으로부터 벗어나 해결중심영역으로 들어가게 한다. 해결중심모델에서는 한두번의 중요한 예외를 찾아내서 계속 그것을 강조하면서 클라이언트의 성공을 확대하고 강화시켜준다. 이러한 척도질문을 통해서 치료자는 클라이언트의 문제 해결에 대한 태도를 보다 정확하게 알아 볼수있으며 클라이언트의 變化(변화)과정을 격려하고 강화해 주는 구체적인 정보를 얻을 수도 있따 첫 면담에서는 면담 전 變化(변화) 상태나 동기에 대한 파악을 …(To be continued )
해결중심적모델사례(instance)관리계약단계에접목[1]






Download : 해결중심적 모델.hwp( 16 )
해결중심적 모델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해결중심적 모델에 대한 글입니다.
4) 척도질문
척도질문은 숫자의 마력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자신의 문제, 문제의 우선순위, 성공에 대한 태도, 정서적 친밀도, 자아존중감, 치료에 대한 확신, 變化(변화)를 위해 투자할 수 있는 노력, 진행에 관한 평가 등의 수준을 수치로 표현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해결중심적 모델에 대한 글입니다. 어떠한 문젱도 예외는 있기 마련이라는 것이 해결중심 치료의 기본전제이다.해결중심적모델사례관리계약단계에접목[1] , 해결중심적 모델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다.
1. 기본원리와 중심철학
▣기본원리
▣중심철학
2. 문제중심모델과 해결중심모델의 주요 차이점
3. 클라이언트를 “알고 싶어하는” 자세 (Not-Knowing Posture)
4. 클라이언트의 준거틀
5. 해결중심으로 이끄는 질문
6. example(사례) 관리 계약단계에 접목시키는 이유
1) 면담 전 變化(변화)에 관한 질문
해결중심모델의 기본가정은 變化(변화)란 불가피한것임으로 계속적으로 일어나고 있다고 본다. 클라이언트가 행한 우연적인 성공을 찾아내어 의도적으로 계속 실시하도록 격려한다. 예외질문은 첫 면접에서 대체로 goal(목표) 설정 후에 사용되고 2회 면담부터는 “무엇이 더 좋아졌는가?” 라는 식으로 물을 수 있따
3) 기적질문
기적질문은 문제 자체를 제거시키지 않고 문제와 떨어져서 해결책을 상상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클라이언트가 지난번 면담을 약속한 후 지금까지 일어났던 變化(변화)에 대한 질문은 때로 아주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2) 예외질문
예외란 클라이언트가 문제로 생각하고 있는 행동이 일어나지 않는 상황이나 행동을 의미한다. 이것은 예외적인 상황을 찾아내어 그것을 밝히고, 클라이언트가 가지고 있는 자원을 활용하여 클라이언트의 자아존중감을 강화하는 것이다. 면담전의 變化(변화)가 있는 경우는 클라이언트가 이미 지니고 있는 해결 능력을 인정하고 칭찬하고 강화하고 확대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