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교수법] (방통대 2010-2 영어교수법 A형)내용중심교수법에 대한 정의를 및 교수법을 잘 활용할 수 있는 안을 제안하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8 11:38
본문
Download : 내용중심교수법p[2].hwp
전자가 ‘learning to use English’라고 한다면, 후자를 ‘learning English to use it’라고 그는 언급하였다. weak version은 의사소통을 위해 영어를 사용할 기회를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우리가 통상적으로 알고 있는 CLT라고 생각하면 된다. 반면, strong version은 활동이나 언어에 대한 지식을 습득뿐만 아니라 실제 언어가 사용되는 체계 그 자체 안에서 영어를 학습하도록 자극하는 것이다.
[영어교수법] (방통대 2010-2 영어교수법 A형)내용중심교수법에 대한 정의를 및 교수법을 잘 활용할 수 있는 안을 제안하시오
- 영어영문학과 3학년 영어교수법 A형 참고 입니다
설명
외국어교육의 교수 기법과 원리, Larsen-Freeman, Diane, 동인, 2003
Howatt가 CLT는 strong version과 weak version으로 분류하였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내용중심 교수법은 CLT의 strong version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수업 교재가 target language로 제시되고, 교사도 target language로 수업을 진행하면 내용중심 교수법이 되는 것이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 ] 외국어 교육 접근 방법과 교수법, 리차드, 잭 C., 서울 : Cambridge, 2003
영어 교육론, 김덕기,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9
- 영어영문학과 3학년 영어교수법 A형 참고자료입니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 외국어 교육 접근 방법과 교수법, 리차드, 잭 C., 서울 : Cambridge, 2003 외국어교육의 교수 기법과 원리, Larsen-Freeman, Diane, 동인, 2003 초등 영어 통합교육론, 김정렬, 한국문화사 영어 교육론, 김덕기,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9
1. 내용중심교수법의 정의(定義)
순서
6. 수업 적용의 유의점
다.
초등 영어 통합교육론, 김정렬, 한국문화사
4. 수업 설계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5. 교수법을 잘 활용할수 있는안
- 다양한 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3. 내용중심 접근법의 유형
내용중심교수법, 영어교수법, 교수법, 내용중심교수법의정의,
![내용중심교수법p[2]-2222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9/%EB%82%B4%EC%9A%A9%EC%A4%91%EC%8B%AC%EA%B5%90%EC%88%98%EB%B2%95p%5B2%5D-2222_01.gif)
![내용중심교수법p[2]-2222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9/%EB%82%B4%EC%9A%A9%EC%A4%91%EC%8B%AC%EA%B5%90%EC%88%98%EB%B2%95p%5B2%5D-2222_02_.gif)
![내용중심교수법p[2]-2222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9/%EB%82%B4%EC%9A%A9%EC%A4%91%EC%8B%AC%EA%B5%90%EC%88%98%EB%B2%95p%5B2%5D-2222_03_.gif)
![내용중심교수법p[2]-2222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9/%EB%82%B4%EC%9A%A9%EC%A4%91%EC%8B%AC%EA%B5%90%EC%88%98%EB%B2%95p%5B2%5D-2222_04_.gif)

1. 내용중심교수법의 정의(定義)
Download : 내용중심교수법p[2].hwp( 48 )
2. theory(이론)적 배경
내용중심 교수법(Content-Based Instruction)은 새롭게 주장된 교수법이 아니다. 다만, 내용중심 교수법이 이전 교수법과 다른 것은 이전의 교수법이 언어 그 자체에 초점을 맞췄다면, 내용중심 교수법에서는 언어 그 자체 보다 의사소통되고 있는 또는 수업 시간 중에 다루어지는 주제에 초점을 맞춘다는 점이다. 내용중심 교수법에서 언어는 학습이나 활동을 위한 하나의 매개체일 뿐이다. 실제 교실 안 수업은 특정한 주제를 가지고 가르치기 마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