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별노조의 조직원칙에 대한 검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1 04:35
본문
Download : 산별노조의 조직원칙에 대한 검토.hwp
3. 산별 가입 및 조직범위의 제한
사실상 사용자의 지위를 가지고 있는 자는 당연히 가입이 제한되며, 자체 규약에 규정된 조합원 자격을 충족하지 못하는 자 역시 가입이 제한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첫째는 조합원 가입자격의 완전한 개방의 원칙이며, 둘째는 최대한 조직의 원칙이다.
2. 산별노조의 조직원칙
(1) 가입자격 개방의 원칙
숙련기술 정도, 직업과 직종, 고용상태, 사업장 및 주거 지역, 기타 어떤 조건을 이유로 가입자격을 제한하지 않는다.
(1)과 (2)의 제약조건은 선진국은 물론이고 한국의 경우에도 별 문제가 되지 않는다. (3)의 경우는 과거 주로 지역노조 형태로 존재했던 일반노조의 경우, 그리고 1960-70년대 한국노총의 엉터리 산별노조였던 연…(생략(省略))


산별노조의 조직원칙에 대한 검토
순서
레포트/경영경제
산별노조의 조직원칙에 대한 검토
다. 이하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2) 조합원의 동질성과 이질성의 경계
노동조건과 임금조건 등의 심각한 격차, 그리고 특히 지리적, 언어적, 인종적 격리 조건이 장애 요인이 될 수 있다아
(3) 단체교섭 범위의 문제
이 문제는 주로 일반노조(general union, amalgamated union)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이 경우 주어진 역량에 맞는 범위에 국한할 수밖에 없으나, 최대한 조직의 원칙은 당연히 계속 추구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는 산별노조와 상관없는 일반 원칙이다.
(2) 최대한 조직의 원칙
산별노조는 여건이 허락하는 한 최대 범위로 조직한다.
설명
Download : 산별노조의 조직원칙에 대한 검토.hwp( 41 )
산별노조의 조직원칙에 대한 검토 , 산별노조의 조직원칙에 대한 검토경영경제레포트 , 산별노조 조직원칙 검토
산별노조,조직원칙,검토,경영경제,레포트
산별노조의 조직원칙에 대한 검토
1. 들어가며
기본적으로 산별노조의 조직원칙은 크게 두 가지이다. 조직 범위의 제한은 다음의 세 가지 제약조건에 의해 규정된다
(1) 주체적 조직능력의 제한
실제로 조직사업을 전개하고 조직을 적절히 관리할 수 있는 주체 역량이 부족한 경우 ‘최대한 조직’의 원칙을 관철할 수 없다. 기업은 물론, 업종과 산업조차도 산별노조의 조직 경계가 되지 않는다. 이 점은 직업별노조, 지역노조, 특히 기업별노조와는 전혀 다른 조직원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