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교종교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6 14:27
본문
Download : 비교종교학.hwp
일본의 가지신행은 “유교는 초월적인 사상이 없는 현세 중심이며, 인간을 혼과 백이 이루어진 존재로 보고 있다아 혼은 영혼과 비슷한 상태이며, 백은 육신을 지칭하는데 이를 이어주는 것이 氣이며 분리된 상태를 죽음으로 본다. 그러나 수치심은 내적 양심의 소리보다 주위의 시선과 비판에 더 좌우되는 경향이 짙다. 삼강오륜의 덕목도 예를 실천적 의미로 규정짓는 것으로 볼 수 있다아
유교는 종교라기 보다는 사회 규범, 제도, 정치제도 등의 가치관에 부여한 철학제도로써 한국 文化(culture) 의 전통과 의식의 중추 역할을 하며, 아직도 우리 심성에 뿌리 깊게 자리잡고 있는 정신적 지주가 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아 교육과 유기적인 인간관계, 법 문제 등에서 그 예를 찾아볼 수 있다아 유교 발생 초기에는 종교성의 성격이 강했으나 점차 예교성만이 남게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아
禮에 맞추어 살지 않을 때 수치심을 갖게 되고 예와 도덕으로 백성들을 다스리게 했다. 여기서는 유교, 불교가 우리 한국인의 심성과 文化(culture) 에 어떻게 影響을 미치고 있가?





레포트 > 기타
Download : 비교종교학.hwp( 50 )
설명
다. 仁은 인간관계를 규정짓고 행동규범을 제시하며, 禮는 仁의 실천적이고 구체적인 행위를 가리키며 이를 통해 자기를 극복하고 공동체와 사회의 조화와 질서에 이바지하고자 했다.
유교
비교종교학
비교종교학
순서
비교종교학
유교에서는 仁과 禮를 강조한다. 무언가 나와 내가 속해 있는 집단과는 다르게 여겨지는 사람을 따돌리는 왕따, 날씬하고 예뻐지기 위해 다이어트를 하고 성형수술을 하는 것, 남들과 비슷한 조건을 가지기 위해 끊임없이 경쟁하고, 학벌을 가지려고 하는 현시대의 현상은 결국은 인간을 얽매이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아
[] 비교종교학
현실적이고 실천중심적인 공자는 내세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고 삶과 죽음, 인간과 귀신의 문제를 별개로 보지 않았다. 혼이 하늘로 가면 우리가 제사를 지낼 때 혼이 와서 음식을 먹고 공중으로 떠돌다가 점차 제사를 지내주는 후손이 없으면 사라진다”고
한국의 대표적 종교인 불교와 유교가 정신과 文化(culture) , 종교에 미친 影響은 실로 매우 크며, 우리의 존재 근원이라고 할 수 있을만큼 그 뿌리도 깊다. 그는 제사라는 의식을 통해 도덕적인 심성을 갖게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