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정치세력화를 위한 제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30 13:49
본문
Download : 노동자 정치세력화를 위한 제언.hwp
up노동자정치세력화를위한제언 , 노동자 정치세력화를 위한 제언경영경제레포트 ,
노동자 정치세력화를 위한 제언
up노동자정치세력화를위한제언
Download : 노동자 정치세력화를 위한 제언.hwp( 31 )
노동자 정치세력화를 위한 제언에 대한 글입니다. 소속 단위 현장활동가조직들의 활동력과 조직력은 매우 약화되었고 대표자회의는 의사결정과 집행이 괴리되고 집행에 대한 책임이 담보되지 않는 무기력한 상태가 계속되고 있다 전국적 노동조합조직의 중앙집중성이 높아지고 조직의 구성과 운영에서 계통성이 강화될수록 전국적 현장활동가조직의 연합체는 중앙집중화된 노동조합의 관료화를 저지할 수 있을만큼의 강력한 effect(영향) 력을 갖출 수 있도록 스스로가 전국적으로 집중되고 지금보다 더 높은 조직적 계통성을 확보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금의 연합적 질을 높여 전국단일현장활동가조직으로 재편되고 발전해나가지 않으면 안된다 민주노동자전국회의나 …(省略)
,경영경제,레포트
설명
다. 민주노총과 상급연맹에 마주향하여 는 현장활동가조직들이 전국적으로 회의체계를 꾸려 주요 투쟁사안과 선거 등에 대응해왔다. 그러나 2000년 이후 전국현장조직대표자회의와 같은 경우는 민주노총의 심각한 위기에 대해 현장의 목소리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개입하지도 못했고 노동조합 상층운동의 오류와 한계를 날카롭게 비판해내지도 못했다. 지금까지 현장활동가조직은 집행부를 장악하기 위한 선거조직의 위상을 뛰어넘어 아래로부터 일상적으로 민주노조를 강화하고 노동조합과는 다른 질의 조직운동을 통해 현장활동가들을 훈련시켜왔으며 그 힘으로 노동조합운동을 견인하고 비판해왔다. 현장조직은 현장활동가조직과 현장대중조직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현장활동가조직은 현장활동가들이 노동운동 내부의 일정한 경향과 노선에 따라 결집하여 활동하는 조직이다.
순서
1. 97년 1월, 한 노동자의 분신
2. 노동자 정치선언, 96˜7년 총파업
3. 정치적 노동운동에서 노동자 정치운동으로
4. 민주노총의 정치방침
5. 노동자 정치세력화-민주노조운동, 투쟁과 조직의 무기
6. 현장조직운동과 노동자정치운동
7. 노동자 정치세력화, ꡐ돌파ꡑ해야 할 Task 들
6. 현장조직운동과 노동자정치운동
87년 이후 대공장 중심의 노조민주화투쟁으로 출발한 현장조직운동은 대중적 노민추운동을 거쳐 95년 자본의 신경영책략에 맞선 현장투쟁 속에서 재건되어 발전해왔다.






레포트/경영경제
노동자 정치세력화를 위한 제언에 대한 글입니다. 97년 전국현장조직대표자회의 이후 현장조직운동은 민주노동자전국회의, 공공현장조직연대모임, 연대와전진을위한전국노동자회 등으로 금속 대공장 중심에서 점차 다른 산업과 공공부문, 중소사업장 현장조직으로까지 확대·일반화되어왔으며 활동노선에 따른 ‘분화와 통합’의 현장조직 재편을 가속화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