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 ●노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1 13:10
본문
Download : [사회과학] ●노자.hwp
(老子 韓非列傳). 첫째로 이이(李耳, 자는 담(聃=老聃)를 들었다.
도는 성질이나 모양을 가지지 않으며, 변하거나 없어지지 않으며, 항상 어디에나 있따 우리가 눈으로 볼 수 있는 여러 가지 형태의 우주 만물은 다만 도가 밖으로 나타나는 모습에 지나지 않는다.
그는 중국(中國)에서 우주의 만물에 대하여 생각한 최초의 사람으로, 그가 발견한 우주의 진리를 `도`(道)라고 이름지었다. 그는 초나라 사람으로 공자가 예(禮)를 배운 사람이며, 도덕의 말 5천여 언(言)을 저작한 사람인데 그의 최후는 알지 못한다고 한다. 그 도를 중심으로 하는 신앙을 `도교`라고 하며, 그는 우주 만물이 이루어지는 근본적인 이치가 곧 `도`라고 說明(설명) 하였다.
그의 사상은 그의 저서 `노자 도덕경` 속에 있는 `무위 자연`이라는 말로 나타낼 수 있따 사람이 우주의 근본이며, 진리인 도의 길에 도달하려면 자연의 법칙에 따라 살아야 한다는 것이 그의 `무위 자연` 사상이다. 모든 우주 만물의 형태는 그 근본을 따지면 결국은 17가지 진리에 도달하게 된다는 것이 그의 사상이다. 다음에 든 사람은 역시 공자와 동시대의 노래자(老萊子)로서 저서는 15편 있었다 한다. 즉, 법률도덕풍속文化(문화) 등 인위적인 것에 얽매이지 말고 사람의 가장 순수한 양심에 따라,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지키며 살아갈 때 비로소 도에 이를 수 있다고 하였다.
그는 후세에 `도교의 시조`로 불리고, 그 사상은 `노장 사상` 또는 `도가 사상`으로 발전하여 유교와 함께 중국(中國) 정신 사상사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지게 되었다
노자의 실체
사마천(司馬遷)은 《사기》에서 노자로 상정되는 인물이 3인이 있다고 하였다.
노자
노자(老子)는 춘추시대 초나라의 철학자로 전해지고 있따 성은 이(李), 이름은 이(耳), 자는 담(聃)이다. 세 번째 든 것은 주(周)의 태사담이라는 사람으로 공자의 사후 100년 이상 경과한 때에 진(秦)의 헌공과 회담하…(투비컨티뉴드 )
순서
설명
[사회과학] ●노자
![[사회과학]%20●노자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2%97%8F%EB%85%B8%EC%9E%90_hwp_01.gif)
![[사회과학]%20●노자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2%97%8F%EB%85%B8%EC%9E%90_hwp_02.gif)
사회과학,●노자,인문사회,레포트
[사회과학] ●노자 , [사회과학] ●노자인문사회레포트 , 사회과학 ●노자
Download : [사회과학] ●노자.hwp( 34 )
[사회과학] ●노자
레포트/인문사회
다.
노자의 생애 및 사상
허난 성 루이 현 사람으로 주왕을 섬겼으나, 뒤에 관직을 버렸다.